본문으로 바로가기

전문가 컬럼 물류신문 Part 1. 공급망이란 무엇인가?

등록일2025-11-12

출처 : 물류신문, 이경성 기자 2025. 11. 06

공급망의 정의부터 산업별 차이점까지

공급망(供給網, Supply Chain)이라는 단어는 많이 들어봤지만, 의미를 뭉뚱그려서 아는 경우가 보통이고 정의나 역할을 명확하게 아는 이는 많지 않다. 이는 공급망이라는 단어 자체가 주는 어감이나 맥락상의 의미는 해석하기 쉽지만, 그 역할과 범위가 매우 넓기 때문이다. 그렇다 보니 실제 업계에 있는 이들도 공급망을 모호하게 생각하거나 일부만 알고 있는 경우도 적지 않다.

전문가들은 시간이 갈수록 물류, 유통, 제조 등 다양한 산업에서 공급망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만큼 의사결정권자나 실무자들이 공급망의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의 활용 방안을 모색할 수 있어야 불확실성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하고 있다.

공급망의 기본적인 정의부터 각각의 산업에서의 기능과 차이점, 공급망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를 살펴봤다.

공급망의 명확한 정의?

공급망은 원재료를 구매하는 시점부터 중간재나 최종 제품으로 가공하고 고객 또는 수요자(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유통과정까지 이와 관련된 행위에 관여하는 것들, 이를테면 모든 조직과 업무 프로세스, 활동, 정보, 자원, 사람 등의 흐름을 위한 망(네트워크)을 말한다.

따라서 공급망을 정의할 때 포함할 수 있는 항목은 산업, 국가, 재화, 운송수단, 정보 등 그 범위가 매우 넓다. 또한 아주 작은 기업부터 대기업, 산업과 국가 단위의 경제 체제, 글로벌 경제 체제는 물론 사회 현상까지 범주에 넣을 수 있다.

다만 공급망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활용하는 주체는 기업, 산업이므로 대체적으로 공급망을 논할 때는 편의상 범위를 기업 활동이나 시황과 같은 산업 내 현안에 한정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공급망을 구성하는 요소로는 계획, 소싱, 생산, 물류, 기술 등을 꼽는 것이 보편적이다.

공급망은 원자재가 제품으로 완성되어 소비 단계로 이동하는 과정에서의 자원과 정보, 서비스 등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즉, 공급망은 경제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그리고 자연스럽게 발생하게 된다.

공급망을 바라보는 산업별 차이점

공급망은 세계 경제를 묶는 하나의 거대한 흐름이지만 각각의 산업에서 바라보는 시각이나 범위는 조금씩 차이가 있다.

각 산업로 공급망이 차지하는 범위는 어떻게 될까? 물류산업에서는 상품 혹은 완성품이나 이에 준하는 화물의 입고, 즉 상·하차부터 보관, 입출고, 운송 등 물류 프로세스의 전 과정을 공급망의 범주에 넣는 것이 보통이다. 때문에 공급망 관리(SCM)는 다른 산업보다 물류산업에서 가장 먼저 주목받았고 현재까지 가장 활발한 연구가 진행됐다. 최근에는 디지털화가 진행되면서 물류 프로세스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흐름, 그리고 첨단 장비와 인력 배치의 흐름도 공급망 내에서 관리해야 할 요소로 보고 있는 추세다.

반면 제조, 유통 등에서 바라보는 공급망의 범위는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제조산업은 생산을 위한 원자재의 공급선 확보를 공급망의 시작으로 본다. 즉, 원자재 수급부터 생산 공정 내 자원의 이동, 완성품의 보관과 출하까지를 공급망 안에 둔다. 최근에는 생산 계획과 판매 실적을 유추하기 위한 활동을 공급망 내 범주에 포함하는 시각도 있다.

유통산업은 공급망 내 하나의 축을 이루는 산업인 동시에 공급망의 고도화가 더욱 강조되고 있는 분야다. 유통의 공급망은 원자재 수급부터 완성품이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범주에 두고 있지만 통상적으로는 생산이 개시되기 이전 원자재의 수급 과정과 국내외 유통채널 내 재화의 이동에 중점을 둔다.

01

(출처: 물류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