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물류 용어집 HS CODE

등록일2021-11-12

Cello Square HS CODE
  1. 1)정의1)정의
      • HS CODE는 Harmonized System Code이며, 더 자세히 풀어보면 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 이다.
      • HS CODE는 1988년 국제협약으로 채택된 국제통일상품분류체계에 따라 대외 무역거래가 되는 상품 (전기, 가스 포함)을 총괄적으로 분류한 품목분류 코드로, 국가 간의 무역 거래에 있어 모든 상품에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체계를 말한다.
      • HS CODE는 국제 무역을 원활하게 하고 관세율 적용에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관세나 무역통계, 운송, 보험 등 다양한 목적에 사용된다. 또한, HS CODE로 관세 및 수출입 량과 수출입 금액을 조회할 수 있다.
  2. 2)해상 운임지수2)해상 운임지수
    1. HS CODE 구성 국제공통:6자리 , 추가1~4자리 , HSK(HS of Korea) : 10자리HS CODE 구성 국제공통:6자리 , 추가1~4자리 , HSK(HS of Korea) : 10자리
      • HS CODE는 국제협약에 따라 품목당 6단위 숫자의 코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 6자리까지는 국제 공통으로 사용하는 코드로, 1~2, 3~4, 5~6 자리 별로 분류된다.
      • 7자리부터는 각 나라에서 세분화하여 부여하는 숫자이며, 10자리까지 사용할 수 있다.
      • 대한민국은 구체적인 상품 분류를 위해 4자리를 추가해 총 10자리인 HSK 코드를 사용한다.
      • 추가되는 숫자는 국가별로 상이하다. (미국 10 / EU와 중국 8 / 일본 9자리까지 등)
      • 특정 제품에 어떤 코드를 부여할지에 대해서는 제품을 수입하는 국가가 결정하는데, 이 코드번호에 따라 관세율이 달라지기 때문에 수출국은 가능하면 관세율이 낮은 코드를, 수입국은 가능한 관세율이 높은 코드를 부여하고자 한다.
    2. ① 부 (Section)

      대분류로, 일반적으로 산업의 유형을 따르면서, 표제는 생산품(Product)과 제품(Article)별 대표로 구분한다. HS CODE 상에는 포함되지 않으며, 2021년 기준, 총 21개의 부로 나뉘어져 있다.

    3. ② 류 (Chapter)

      중분류로, 상품의 군별을 구분하는 앞의 2자리 숫자를 의미한다.

      HS CODE 구성 국제공통:6자리 , 추가1~4자리, 국제공통 앞2자리 류(Chapter)라고 한다HS CODE 구성 국제공통:6자리 , 추가1~4자리, 국제공통 앞2자리 류(Chapter)라고 한다
    4. ③ 호 (Heading)

      소분류로, 동일류 내 품목의 종류별 · 가공도별 분류를 구분하는 4자리 숫자를 의미한다. (호는 류를 포함한다.)

      HS CODE 구성 국제공통:6자리 , 추가1~4자리, 국제공통 앞4자리 호(Heading)라고 하며 류를 포함한다HS CODE 구성 국제공통:6자리 , 추가1~4자리, 국제공통 앞4자리 호(Heading)라고 하며 류를 포함한다
    5. ④ 소호 (Subheading)

      세분류로, 동일호 내 품목의 용도 · 기능 등에 따른 분류를 구분하는 5~6자리 숫자를 의미한다. (소호는 호를 포함한다.)

      HS CODE 구성 국제공통:6자리 , 추가1~4자리, 국제공통 앞6자리 소호(Subheading)라고 하며 호를 포함한다HS CODE 구성 국제공통:6자리 , 추가1~4자리, 국제공통 앞6자리 소호(Subheading)라고 하며 호를 포함한다
  3. 3)HS CODE 조회 방법3)HS CODE 조회 방법
    1. HS CODE는 ‘관세법령정보포털’ 사이트(https://unipass.customs.go.kr/clip/index.do) 세계HS 메뉴에서 조회 가능하다.

      관세법령정보포털 사이트 세계HS메뉴 조회 화면 관세법령정보포털 사이트 세계HS메뉴 조회 화면

      예시로, ‘샴푸’의 HS CODE를 조회하는 방법이다.

    2. ① 부(Section) 목록 조회
      부(Section) 목록 조회 예시 화면 부(Section) 목록 조회 예시 화면 (출처 : 관세법령정보포털, https://unipass.customs.go.kr/clip/index.do )
    3. ② 류(Chapter) 목록 조회

      아래와 같이, 속견표를 보고 제품에 맞는 부류를 찾아 세로 번호와 가로 번호가 만나는 지점을 찾아 확인할 수 있다.

      ‘샴푸’의 HS CODE 류는 세로 30번, 가로 3번이 만나는 향료 화장품(33) 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류(Chater) 목록 조회 예시 화면 류(Chater) 목록 조회 예시 화면 (출처 : 관세법령정보포털, https://unipass.customs.go.kr/clip/index.do )
    4. ③ 호(Heading) 목록 조회

      ‘향료 화장품’의 카테고리는 3301부터 3307까지 조회되는데, 품명을 확인하여 속하는 호를 찾으면 된다. 분명하지 않을 경우, ‘관련 정보 – 해설서’ 메뉴를 통해 더 상세하게 알 수 있다.

      ‘샴푸’의 HS CODE 호는 두발용 제품류(05) 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호(Heading) 목록 조회 예시 화면 호(Heading) 목록 조회 예시 화면 (출처 : 관세법령정보포털, https://unipass.customs.go.kr/clip/index.do )
    5. ④ 소호(Subheading) 목록 조회

      ‘두발용 제품’의 카테고리는 3305.10 부터 3305.90까지 조회되는데, 품명을 확인하여 속하는 소호를 찾으면 된다.

      ‘샴푸’의 HS CODE 소호는 샴푸(10) 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 총 10자리인 HSK 코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맨 뒷자리 4자리 코드도 함께 확인이 가능하다.

      소호(Subheading) 목록 조회 예시 화면 소호(Subheading) 목록 조회 예시 화면 (출처 : 관세법령정보포털, https://unipass.customs.go.kr/clip/index.do )

      따라서, ‘샴푸’의 HS CODE는 3305.10-0000 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샴푸의 HS CODE는 3305.10-0000 인 것을 확인 예시 화면샴푸의 HS CODE는 3305.10-0000 인 것을 확인 예시 화면
  4. 4)HS CODE 별 관세율 비교4)HS CODE 별 관세율 비교
    1. ① 주요 국가별 HS CODE 구성 차이점

      ‘샴푸’의 HS CODE를 예시로 들자면, 같은 품목일지라도 유럽연합(EU)은 6~8자리, 미국은 10자리, 중국은 8자리, 일본은 9자리 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샴푸의 HS CODE 예시 화면 샴푸의 HS CODE 예시 화면 (출처 : 관세법령정보포털, https://unipass.customs.go.kr/clip/index.do )
    2. ② 동일 품목 관세율 차이

      ‘커피’ HS CODE의 경우, 커피 볶음 유무와 카페인 여부에 따라서 다양한 기준으로 품목 분류가 이루어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본세율과 탄력·양허세율도 달라지기 때문에 HS CODE를 잘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 볶지 않은 커피 : 0901.1
      • 볶은 커피 : 0901.2
      • 카페인을 제거하지 않은 커피 : 0901.11-0000
      • 카페인을 제거한 커피 : 0901.12-0000
      커피 HS CODE의 경우, 커피 볶음 유무와 카페인 여부에 따라서 다양한 기준으로 품목 분류가 되어있는 예시 화면 커피 HS CODE의 경우, 커피 볶음 유무와 카페인 여부에 따라서 다양한 기준으로 품목 분류가 되어있는 예시 화면 (출처 : 관세법령정보포털, https://unipass.customs.go.kr/clip/index.do )
    3. ③ 품목 분류 분쟁 사례

      수출자와 수입자, 수출·입업자와 상대국 당국, 수출•입국의 관세당국 간 HS CODE 차이로 품목 분류 분쟁이 발생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HS CODE 품목 분류 분쟁 사례이다.

      1. 디스플레이 모듈(HS 제8524호)
        • 그 동안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명확한 국제 기준이 없어, 나라마다 각기 다른 TV 부분품, 휴대폰 부분품, 액정 디바이스 등의 품목 기준을 적용했었다.
        • 관세청과 디스플레이 업계는 2013년부터 우리 주력 수출물품인 디스플레이 모듈의 HS 분쟁을 대비하여 통일된 기준을 마련하고 추진하였다.
        • 2019년 3월 세계관기구(WCO) 품목 분류위원회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국제기준을 확정하였다.

      2. A사 스마트 워치 시계(HS CODE : 9102) VS 무선통신기기(HS CODE : 8517)
        • 상당 수 국가가 스마트 워치를 무선통신기기로 보아 세계IT제품 협정에 따라 관세를 매기지 않았다.
        • 그러나, 인도, 터키, 태국 등은 스마트 워치를 시계로 분류하여 각각 10%, 4%, 6% 관세로 부과하였고, 요르단의 경우, 기타의 전자기기로 분류하여 30%의 관세를 부과하였다.
        • 2015년 세계관세기구(WCO)의 투표 결과, 스마트 워치의 품목을 ‘무선통신기기’로 결론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