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경기선행지수 (7월)
- 99.1상승(0.1)
- 98.8보합(-)
- 100.8상승(0.3)
'23년 7월 OECD 경기선행지수는 미국(99.1), 유럽(98.8)로 수축 국면을 유지했으며, 중국(100.8)의 경우 3월 이후 4개월 연속 100 이상으로 확장 국면을 유지했습니다.
※ 100을 기준으로 그 이상이면 경기가 상승세를 보이고, 그 이하면 경기가 하락세를 보인다고 해석
※ Europe : France, Germany, Italy, UK
제조업 PMI 지수 (8월)
- 47.6상승(1.2)
- 43.5상승(0.8)
- 49.7상승(0.4)
'23년 8월 미국 PMI 지수는 47.6으로 10개월 연속 위축세를 보였습니다.
유럽은 43.5로 14개월 연속 위축세를 지속 했습니다.
중국은 3개월 연속 상승하였지만 49.7으로 5개월 연속 위축세를 보였습니다.
※ 매달 400개 이상의 기업 구매/공급 담당자 대상으로 실시하는 설문 조사 결과로 경기의 국면을 알려주는 선행지표
국제유가(WTI) (8월)
-
83.6상승(1.8)WTI는 여름철 여행 성수기, 허리케인 이달리아 영향으로 상승세가 지속되었습니다.
‘23년 8월 WTI는 7월 대비 2.2% 상승하여 배럴당 $83.6을 기록 했습니다.
SCFI 종합지수 (8월)
-
1,032상승(55)8월 SCFI 종합지수는 미주 노선과 유럽 노선 상승에 힘입어 7월 대비 5.7% 상승했습니다.
파나마 수심 이슈가 단기 운임 상승 요인이 되고 있으나, 대규모 공급 상황으로 비추어보면 운임 추가 상승 가능성이 제한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삼성SDS SCFI 전망
- SCFI 종합지수는 '23년 4분기 1,014~1,071 포인트가 될 것으로 전망되었습니다.
‘23년 4분기 운임은 북미 서안 $1,613, 북미 동안 $2,619, 북유럽 $865 정도가 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지역별 동향
- [아시아]
- 미국 기업들이 중국으로부터의 직접 수입을 줄이기 위한 조치를 취했음에도 중국은 여전히 미국의 주요 공급망에 포함되었고, 중국 기업들은 베트남과 멕시코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FDI, Foreign Direct Investment) 증가를 통해 충격은 완화하였습니다. (8/28, Supply Chain Brain)
- 사우디아라비아는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의 글로벌 물류 허브로 변모하기 위해 59개의 물류 센터를 건설하는 마스터 플랜을 발표(8/28, DC Velocity)
- [미주]
- 파나마 운항청은 올해 유례없는 가뭄으로 인해 최소 10개월 동안 제한이 유지될 것이라고 경고했고, 통항 제한으로 인해 최대 headhaul 항로 이용률이 84%까지 떨어지고 대형 선박은 수에즈 운하를 경유하는 항로를 모색해야 한다고 했습니다.(8/25, Splash 247)
- 북미 항구는 10개월째 수입 컨테이너 물동량이 두 자릿수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올해 8월부터는 이러한 월간 감소세가 상당히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단기적으로 물동량이 서해안으로 돌아올 것으로 예상했습니다.(8/22, Container News)
- [유럽]
- 해운 선사들은 10월 중국발(아시아-북유럽) 화물에 대한 대폭적인 운임 할인을 제시했고, MSI(Maritime Strategies International)는 신조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공급 유입으로 인해 운임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8/25, The Loadstar)
- 선사들은 올해 6월에 30만 TEU를 인도받은데 이어 7월에도 20만 TEU의 신조선 인도를 완료했고, 이 중 초대형 신조선(24,000teu 이상)은 모두 아시아-북유럽 무역에 배치될 예정이라고 했습니다.(8/9, The Loadstar)
TAC Index (8월)
-
HKG-EUR 0.04상승(0.12) HKG-US 0.11상승(0.29)홍콩-유럽은 $3.64로 11개월 연속 하락 후 소폭 반등하였고, 홍콩-미주는 $4.55로 4개월 연속 하락 후 반등했습니다.
상해-유럽은 $3.04로 전월 반등 후 재하락하며, ‘23년 최저를 기록했고, 상해-미주는 $4.59로 전월 대비 7.6% 상승했습니다.
삼성SDS TAC 전망
- 홍콩발 미주향은 '23년 3분기 $4.0 ~ $4.5, 4분기 $4.1 ~ $4.4로, 홍콩발 유럽향은 '23년 3분기 $3.5 ~ $3.6, 4분기 $3.5 ~ $3.6으로 전망되었습니다.
지역별 동향
- [아시아]
아시아태평양항공협회(AAPA)가 발표한 2023년 7월 국제 항공화물 수요 (FTK)는 전년 동기 대비 0.6% 감소했고, 글로벌 교역량의 지속적인 둔화가 항공화물 수요에 부담을 주면서 7월 항공 화물량이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지속적인 항공편 복원으로 인해 벨리 공급이 증가해 전체 화물 공급량이 8.4% 확대되고, 7월 평균 국제 화물 적재율(L/F)은 60.9%로 5.5%포인트 하락했습니다.
- [미주, 유럽]
미국 서부지역 최대 항공화물 관문인 LA 국제공항(LAX)을 관리하는 LAWA(Los Angeles World Airport)는 항공화물 부동산 관리기업 Realterm이 주도하는 컨소시엄과 재개발 계약을 체결해 공항내 화물 단지 전체에 걸쳐 노후된 시설을 개량해 화물처리 능력 및 효율성을 제고한 통합 ‘Cargo village’로 탈바꿈 시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7/25, Freight Waves)

첼로 스퀘어의 회원이 되시면,
더욱 상세한 물류 리포트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