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물류 시황 ['25년 4월] 물류 Market Intelligence 분기 리포트

등록일2025-04-17

경제지표

OECD 경제 성장전망

글로벌 경제는 주요 선진국들의 성장 둔화와 새로운 관세 정책에 따른 변동성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미국은 관세 리스크로 불확실한 무역 정책 및 높은 금리가 경제 성장에 부담을 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출처 : OECD)

제조업 PMI 지수 (3월)

미국
49.0
유럽
48.6
중국
50.3
(출처 : Investing.com)

3월 유럽 구매 관리자 지수는 정부의 인프라 투자 확대 기대감으로 26개월 만에 최고치인 48.6을 기록했습니다.

※ 매달 400개 이상의 기업 구매/공급 담당자 대상으로 실시하는 설문 조사 결과로 경기의 국면을 알려주는 선행지표

지역별 경제전망

한국
- 정치적 불확실성과 침체된 내수로 인해 경제 회복세가 둔화될 전망입니다.
- 미국의 자동차 관련 관세가 수출 리스크를 높이며 경제 성장률 약세가 예상됩니다.
중국
- 중국은 경기 회복세를 유지하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부양책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에 보복관세로 맞대응하며 무역 갈등이 격화되고 있습니다.
베트남
-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조치는 경제 전반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 대미 수출량이 감소되며 수출 성장률도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
- 소비 심리 위축과 전반적인 제조업 활동이 감소하며 경기 둔화 우려가 높아졌습니다.
- 트럼프 2.0 행정부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유럽
- 유로존은 3월 소비자 물가의 상승세가 둔화되며 ECB의 계속되는 금리인하 기대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 유럽의 방위 산업 부양을 위한 방위비 증액 효과로 경제 성장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물류시황

해상 해상

시장전망

SCFI 종합지수
컨테이너 시장은 미국 관세 리스크 및 점진적인 홍해 항로 정상화 영향으로 수요가 감소하며 성장세가 둔화될 전망입니다. 홍해 항로 정상화는 점진적으로 진행될 전망이며, 재개 시 선사들의 과잉 공급 관리가 향후 해운시장의 핵심 요소로 부상할 것으로 보입니다.

수요&공급 동향

수요&공급 동향
2025년 컨테이너선 공급 및 수요 증가율 전망은 각 6.2%, 2.7%로 수요 부진과 동시에 공급 우위의 상황이 지속될 전망입니다.
2026년까지 컨테이너 시장 수요-공급 간 격차는 1% 수준으로 점차 완화될 전망이나 공급 과잉 상황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출처 : Clarksons Research)

지역별 동향

아시아
[아시아] 미, 대중 해운∙조선업 견제 정책 가속화
- 중국 조선업에 대한 제재이나, 사실상 글로벌 전체 선사에 적용되면서 해운업계 전반으로 영향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 중국산 선박을 단기내 대체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로 중국의 조선 지배력 약화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 됩니다.
미주
[미주] 상호관세 부과로 글로벌 공급망 재조정 압박
- 미국의 관세 불확실성은 기존 중국 중심의 글로벌 공급망 구조에 큰 혼란을 야기하고 있습니다.
- 미국은 소비재 생산을 중국에 의존하고있으며 중간재도 대체 공급원을 찾기엔 어려움이 있습니다. 따라서 무역정책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핵심 조달지로 남을 전망이며, 역할은 다소 축소될 것으로 보입니다.
유럽
[유럽] 프랑스 항만 파업의 영향
- 유럽 항만들은 프랑스 항만 파업의 여파로 우회 물동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함부르크항에서는 철도 서비스가 지연되고 있으며, 로테르담항 허치슨 델타 터미널의 파업과 농무 등 악조건이 겹치며 적체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항공 항공

TAC Index

TAC Index
춘절과 미국 관세 변동 영향으로 수요는 일시적 급감하였으나, 1분기 종합 운임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10%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수익성 확보를 위한 항공사들의 공급 노선 변경에 따라 시장 내 장기 계약 협상은 연기되고 있으며 단기 계약에 대한 선호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출처 : TAC Index)

수요&공급 동향

수요&공급 동향
IATA는 2025년 2월 글로벌 항공 화물 시장은 완만한 흐름을 보이며 2025년 2분기에도 수요가 완만하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2025년 2월 춘절 연휴와 사흘간의 미 소액 면세 폐지 시행으로 전년 동기 대비 수요는 0.4%, 공급은 1.1% 소폭 성장했습니다.
(출처 : IATA)

지역별 동향

아시아
[아시아] 중국의 이른(1월) 춘절
- 항공 시장에서 아시아 지역의 춘절 연휴는 수요와 공급에 큰 영향 미치고 있습니다.
- 2025년 이른 춘절로 연초 3주 만(1월)에 수요 급증으로 운임이 인상되었습니다. 중국발 미국착 1월 평균 운임은 $5.09/kg로 전월 대비 20% 하락 되었습니다. (2024년 1월 운임은 전월 대비 31% 하락)
미주
[미주] 미국, 소액 면세 제도 폐지 강행
- 2025년 2월 미국은 통관 시스템 미흡의 이유로 1차 유예 후, 4월 면제 제도 폐지를 강행했습니다. (5월 2일부 폐지)
- 소액 면세 제도 폐지 가능성에 중국발 미국착 공급이 감소세 보였습니다.
유럽
[유럽] 유럽 노선 운임 상승세
- 2025년 1분기, 미국의 소액 면세 기준 변경과 관세 상승으로 인해 트랜스퍼시픽 노선 운임 하락세인 반면 유럽 노선은 운임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 아시아-유럽의3월 스팟 운임은 $4.28/kg로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했습니다.

첼로 스퀘어의 회원이 되시면,
더욱 상세한 물류 리포트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회원 가입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