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문가 컬럼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의 2025년도 하계 실적과 하반기 전망

등록일2025-10-16

01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의 2025년도 하계 실적과 하반기 전망

2025년도 5월부터 8월까지의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은 미국의 관세정책 변화, 세계 경기 둔화, 그리고 아직도 끝나지 않은 전쟁 등의 지정학적인 불안정성 등이 복합적으로 맞물려 변동성이 큰 모습을 보였다. 특히, 미국의 관세정책 변화는 항공화물 시장에 큰 영향을 주었다. 지난 5월~8월 사이, 많은 글로벌 기업들은 미국의 관세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단지 값싼 선택을 버리고, 신속한 리드타임과 관세 정책의 예측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전략적으로 화물 운송 방식을 해상에서 항공 운송으로 전환하는 사례가 늘어났다. 이런 상황으로 인해 5월~6월까지 지지부진 하던 항공 화물 물동량은 7월에 들어서며 급격히 늘어나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항공화물은 운임이 높은 긴급성 화물, 부패성 화물, 고부가가치 상품 등이 중심이므로, 이러한 관세정책, 무역 정책의 변화에 따라 이러한 운송 모드 전환 현상은 단기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항공 화물 운송 수요(CTK, Cargo-Tonne-Kilometer)가 늘어나는 반면에 화물 운송 공급량(ACTK, Available Cargo-Tonne-Kilometer)도 역시 증가함에 따라 항공 화물 운임 (Spot Rate) 은 하향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항공 화물 운송 공급량(ACTK)의 증가는 주로 여객기 하부 공간을 이용한 화물 운송 공급(Belly Cargo Capacity)의 영향이 크다.

여객 항공 노선의 팽창과 운항 횟수의 증가로 이러한 Belly Cargo Capacity 역시 증가하게 된 것이다.

이번 칼럼에서는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의 7월 실적 보고서를 기준(공식적인 8월 실적은 미발표)으로 하고, 그 외 관련된 각종 자료 등을 참고하여 지난 5월~8월까지의 글로벌 항공 화물 시장의 현황과 하반기 전망을 알아보고자 한다.

1. 글로벌 항공 화물 시장의 월별 동향(5월~8월)

1-1. 수요(CTK) 와 공급(ACTK)

2025년 5월부터 8월에 이르는 글로벌 항공 화물 시장의 동향을 살펴보면, 항공화물 운송 수요(CTK)와 공급(ACTK) 모두 5월~6월에는 비교적 잠잠하다가, 7월부터 급증하고 있다. 이는 미국의 관세정책의 변화에 따른 규제 회피성 조기 선적, 해상운송의 만성적 항만 혼잡, 해상 스케줄의 지연 등과 같은 불확실성 등이 맞물려 발생된 현상으로 보인다.

지난 5월~8월까지의 글로벌 항공 화물 운송 실적(CTK)은 [표1] 에서와 같이, 5~6월까지는 전년대비 2.2%~0.8% 수준의 증가율을 보이다가 7월에 들어서며 갑자기 +5.5%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이는 국제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이 해소되며, 새로운 정책에 맞춰 화물 운송량이 늘어나게 된 것이라 판단된다.

[표1] 월별 항공화물 시장 동향
구분 5월 6월 7월 8월
화물 운송 수요량 (CTK)
증감률: 전년대비, %
+2.2% +0.8% +5.5% +5.0%
화물 운송 공급량 (ACTK)
증감률: 전년대비, %
+2.0% +1.7% +3.9% +4.0%
출처: Air Cargo Market Analysis-5월~7월 (IATA) / The STAT Times (8월 실적)

세부적으로 주요 지역별, 노선별 국제 화물 운송실적(CTK)을 알아보면, 우선 아시아-북미간 노선은 미국 관세 정책의 변화에 영향을 받아, 5월이후 7월까지 3개월 연속 운송 실적이 줄어들었으나, 7월에는 수요 감소폭이 줄어 들면서 회복세를 보였다. 아시아-유럽 (Eur-Asia) 노선의 7월 실적은 전월대비 3.5% 가 증가한 13.5%의 성장세를 나타내었다. 이는 미국의 관세정책에 대한 우회 전략의 일환으로 유럽을 경유하거나, 유럽을 시장 확대의 무대로 삼고 이에 대한 수출 확대 전략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온라인 쇼핑몰 상품들이 유럽으로 직접 배송되고 있으며, 고부가 가치 품목에 대한 유럽의 수요 증가, 여전한 지정학적 불안 요인으로 인한 해상 운송에서의 항공 운송으로 전환되는 수요 등 점차 아시아-유럽간 항공 화물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아시아-유럽 노선, 또는 아시아-아프리카 노선 등의 주요 거점 허브로서의 두바이, 도하 등 중동 지역 공항에 대한 항공 화물 운송량 역시 증가하고 있다.

[표2] 글로벌 지역/노선별 화물 수요량 변화 (전년대비, %) 02 출처: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Air Cargo Market Analysis-July 2025

항공 화물 공급량(ACTK)도 7월에 들어 전년대비 3.9% 증가하였다. 이런 공급량의 증가는 주로 전용화물기에 의한 것보다 여객기 하부의 공간을 이용한 벨리 카고량의 증가가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아래의 IATA 7월 보고서상의 그래프 [표2]를 보면 화물 전용기의 공급량 (푸른색 부분, ACTK)은 전체 공급량에서의 차지하는 비중이 거의 일정하지만, 여객기의 벨리 카고량 (노란색 부분)은 전체 공급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여객기 벨리 카고 공급량은 전체 화물 공급량 (ACTK)의 약 56%를 차지하고 있다. 푸른색 부분은 화물 전용기 (화물기)의 화물 적재 공간량, 즉 화물 공급량으로서 이는 전체 화물 공급량의 약 44%를 차지하고 있다.

동 보고서에 따르면, 벨리 카고량은 2019년이래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전년대비 7.3%, 전월대비 5.2%가 증가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증가세는 5개월 연속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로, 그래프상에서 붉은색은 코로나 팬데믹 기간 중 운영했던, 여객용 항공기의 여객용 공간을 화물 운송을 위한 적재공간으로 임시 운영했던 Preighter(Passenger + Freighter)를 나타내며, 2023년이후 사라진 형태이다.

노란색 부분은 여객용 항공기(여객기)의 벨리 카고 공급량을, 푸른색 부분은 화물 전용기 (화물기)의 화물 탑재 공급량을 나타낸다.

[표3] 항공 화물 월별 공급량 변화 추이 (2019.1~2025.7) 03 출처: 국제항공운송협회 (IATA): Air Cargo Market Analysis – July 2025

1-2. 유상 탑재률(CLF, Cargo Load factor)과 현물 운임(Spot Rate)

글로벌 항공 화물에 대한 수요(CTK)가 늘어난 반면에 공급(ACTK) 량도 늘어남에 따라, 전체 유상 화물 탑재률(CLF)는 전반적으로 큰 변동 없이 안정적인 수치를 보여 주고 있다. 5월에서 7월까지는 글로벌 평균 탑재률(CLF)는 약 45% 수준으로 나타나며, 이는 전년 실적보다 약간 낮은 수준이다. 이는 수요에 비해 늘어난 공급량, 특히 벨리 카고의 증가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항공 화물의 실시간 현물 운임(Spot Rates)의 변동 추세를 인덱스로 발표하는 영국의 TCI(The Cargo Index) / BAI(Baltic Air Freight Index) 등에 따르면, 전반적인 글로벌 평균 운임은 전년 대비 보합/약세 정도의 수준으로서, 이는 여름 비수기의 영향도 있지만, 항공 화물 시장의 공급이 회복되고 경쟁이 심화됨에 따른 영향이 크다고 보인다.

[표4] 항공 화물 현물 운임(Spot Rates) 04 출처: Aircargo News: Data Hub, Airfreight Rates (Aug, 2025)

항공 화물 시장의 주요 노선으로서, 홍콩 출발 북미 노선 기준의 운임을 보면 2025년 들어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미국의 소액화물에 대한 면세 혜택(De minimis Duty-800불 이하)이 중국발 화물에 대해서는 5월2일부로 폐지되었으며, 8월29일부터는 전 세계 국가에 대해 면세혜택이 폐지됨에 따라 전자 상거래(e-commerce)에 의한 화물 운송량이 줄어든 것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소액 면세 정책의 폐지에 대한 대응으로 조기 선적 등을 통한 수요가 일시적으로 증가하였으나, 5월 과 6월에는 중국발 전자 상거래에 의한 상품 운송 수요가 대폭 줄어들면서 운임 역시 약세를 보였다. 수출거점의 이동, 화물 운송 BSA(Block Space Agreement)를 해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적인 변화가 즉각적이고 대규모적인 운임 변동의 요인이 될 지는 노선별 특성, 상품의 종류, 통관 효율성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Supply Chain Dive, June 2025)

2. 2025년 9월이후 글로벌 항공 시장의 전망

지난 7월 실적으로 보여 준 관세 정책 회피를 위한 조기 선적/우회 운송 등의 반사 효과 이후에도 아시아-유럽 노선은 전자, 고부가 가치 제품, 제약 등에 대한 수요로 상당히 강세를 보여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아시아-북미 노선은 당분간 관세정책의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회복 지연 리스크가 어느 정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특히, 9월이후 12월까지는 연말연시, 추수감사절, 전자제품의 새로운 모델 출시, 연말 쇼핑 시즌 등 항공 화물 수요가 급증하면서 유럽, 북미 노선에의 항공 화물 수요(CTK)와 운임은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종합해 보면, 2025년 하반기 글로벌 항공 화물 시장은 관세/무역 정책의 변화에 따라 화물 운송 모드 변경(해상 -> 항공), 위험 회피를 위한 우회 운송, 즉 '속도와 유연성'을 요구하는 방향으로 재편 중이라고 볼 수 있다.

각국의 기업들은 이러한 화물 운송 모드 선택에 있어 단순한 운송 비용 외에도 관세/무역 정책 불확실성, 상품의 리드 타임, 통관 리스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전략을 구사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항공 화물 운송은 비교적 높은 비용 부담에도 불구하고, 위험을 회피하고자 하는 상황에서 해상 운송 대비 빠른 대응력과 신속성을 무기로 ‘전략적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물론, 장기적인 관점에서 항공 화물 운송이 해상 운송을 대체할 수는 없겠지만, 당분간 항공 운송에 대한 수요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투자자와 산업 관계자들은 단기적으로 관세 정책 변동과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에 대한 예민한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며, 동시에 항공과 해상 운송의 균형과 대체 수단으로서의 신속성 강화 여부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2025년 항공화물 시장은 정책, 경제, 공급의 복합 요인이 상호작용하는 동적 구조로서, 앞으로도 불확실성과 기회가 공존하는 장기 변화기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공식적으로 가장 최근에 발표된 국제 항공 운송 협회(IATA)의 2025년 7월 항공 화물 시장 분석 보고서의 글로벌 항공 시장 실적과 지역별 실적을 아래의 표로 정리하였다.

[표5] 항공 화물 시장 실적 – 2025년 7월 05 출처: Air cargo Market Analysis, July 2025, IATA
# Reference

- 국제항공운송협회 (IATA) Air Cargo Market Analysis (July 2025): July delivers a boost to Air Freight demand
- The STAT Trade Times (9 Sep. 2025) Air cargo demand rises 5% in August, but rates continue to fall
- Supply Chain Dive (4 June 2025): Supply Chain Dive
- DHL (August 2025) Air Freight Market Update
- Air Cargo News (4 Sep. 2025) Air cargo grows again in August but outlook remains uncertain

백남진
백남진

교수

현 성결대학교 글로벌 물류학부 교수
주요 연구 실적:

  • - 드론을 활용한 항공물류시스템 구축을 위한 실증연구.
  • - 드론배송에서 운송서비스요인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 - A study of Location based Air Logistics Systems
    with Light-ID and
    RFID on Drone System
    for Air Cargo Warehouse Case.
Cello Square

▶ 해당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로 기고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 해당 콘텐츠는 사전 동의 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