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물류 시황 ['25년 8월]
물류 Market Intelligence 리포트

등록일2025-08-18

물류시황

해상 해상

SCFI 종합지수

SCFI 종합지수
SFCI 종합지수는 북미 항로의 수요 부진과 공급 과잉의 영향으로 운임 하락이 이어지며 약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유럽 항로는 성수기 진입, 라인강 수위 저하로 인한 체선의 장기화로 선복이 타이트하게 유지되며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출처 : Shanghai Shipping Exchange )

수요&공급 동향

수요&공급 동향
올해 글로벌 컨테이너선 신조 인도량은 약 208만 TEU로 예상되며, 기 발주된 선박의 인도가 이어지며 공급 압박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반면 올해 폐선량은 1만 TEU에 불과하며 글로벌 컨테이너 선대 증가율이 전년 대비 6.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출처 : Clarksons Research)

지역별 동향

아시아
[아시아] 닝보-저우산, 글로벌 해운 허브 도시 7위 진입
- 지난 7월 '신화-발틱 국제 해운센터 발전 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닝보-저우산은 글로벌 해운허브 도시 순위에서 7위를 기록하였습니다.
- 올해 308개 컨테이너 항로를 운영 중이며, 20,000 TEU급 초대형 선박 210척을 처리하며 국제 해운 허브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미주
[미주] 8월 관세 유예 종료 예정에 따라 환태평양 노선의 선복 감소세
- 8월 관세 종료를 앞두고 미국에 적기에 도착할 수 있는 시한이 임박해지면서 해운사들의 미주항로 서비스는 점차 축소되고 있습니다.
- OOCL은 7월 마지막 2주간 PSX 서비스에서 미동안으로 향하는 운항을 취소했으며, COSCO도 아시아발 미서안 서비스의 7월 운항을 취소했고, 프리미어 얼라이언스도 MP2 서비스 2개 항차를 취소하였습니다.
유럽
[유럽] 앤트워프항, 올해 상반기 항만 혼잡 속 컨테이너 물동 처리량 성장세
- 2025년 상반기 앤트워프항의 총 물동 처리량은 1억 3,720만 톤으로 전년동기 대비 4.3% 감소했으나 컨테이너 물동량은 TEU기준 3.7% 증가하며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유럽 항만들은 화물량 증가, 노동력 부족, 운영 병목현상 등 복합적인 물류 문제와 미국발 관세전쟁에 따른 시장 상화의 변화로 인해 항만 혼잡을 지속해서 겪고 있습니다.

항공 항공

TAC Index

TAC Index
8월 초 미국의 관세 불확실성으로 시장 수요 심리가 위축된 반면 하계 밸리 공급 확대로 항공 화물 시장 비수기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8월 7일 발효될 상호관세 이전 막판 조기 선적 움직임은 항공 화물 시장에서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출처 : TAC Index)

수요&공급 동향

수요&공급 동향
6월 글로벌 수요는 3개월 연속 21 Billion ton kilometer 수준으로 보합세, 공급은 전월에서 소폭 상승한 40.9 Billion ton kilometer 로 연중 최고점 유지 중입니다.
2025년 적재율은 평균 50% 내외를 유지했으며, 제한적인 수요에 비해 공급이 확대되며 적재율 상승 폭이 제한되고 있습니다.
(출처 : IATA)

지역별 동향

아시아
[아시아] '25년 중국의 항공 수출 주요 품목
- 중국의 스마트 크로스보더 물류 플랫폼 바이원망의 자료에 따르면 2025년 국제 항공 화물 주요 품목은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전자제품, 자동차 부품, 신선식품, 의류 등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 중국의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3.2조 위안 돌파, 항공 운송 비중은 28%, 유럽 노선 하루 120만 건 이상으로, 전자제품·자동차 부품·신선식품·의류 등은 고부가·시급성 기반으로 항공 운송 비중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미주
[미주] 항공화물 수요 증가세 병목현상 재발 우려
- 미국은 8월 29일부터 모든 국가발 $800 이하 저가 수입품에 대한 소액면세 제도를 중단하며, 이는 성수기 물류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 국제 우편 이외 경로로 유입되는 저가 화물은 즉시 일반 관세 부과 대상이며, 중국발 품목은 이미 5월부터 면세 혜택 폐지되었습니다.
- 브라질산 상품은 8월 6일부터 관세율을 50% 인상하고, 아시아 화주들은 미 관세 발효 전 선적 일정에 혼란 겪으며 동남아발 수출을 서두르는 중입니다.
유럽
[유럽] 스위스포트, 리에주 공항에 신선 화물 센터 개장
- 지상조업사 Swissport는 8월 리에주 공항에 온도 전용 저장시설을 개장하였고, 공항 내 유일한 신선 화물 전용 시설로, 2~8°C 유지 가능한 40 ULD 처리 능력을 갖추었습니다.
- 특히 네덜란드 화훼 시장을 겨냥한 유럽 내 육상운송을 위한 냉장 보관 허브로, 수입 물류 흐름 개선에 기여 하며 Swissport는 이를 통해 리에주를 글로벌 콜드체인 중심 허브로 육성, 화훼·의약품·전자상거래 물류까지 확대 대응 중입니다.

물류 리포트가 궁금하시다면?

샘플 다운로드

첼로스퀘어의 회원이 되시면,
더욱 상세한 물류 리포트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회원 가입 하기